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604)
우리의 체온과 사색 (61)
성처리가 지은 詩 (23)
일상의 BGM (293)
復旦大學 生活과 工夫 (77)
上海의 外國 人民 이야기 (2)
주소없는 사서함 (0)
Diary (81)
Kommentar (27)
Idea Bank (2)
11년 루구후 독서여행 (8)
09년 전남여행 (3)
Coffee break (27)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4. 1. 11. 02:06

모교에서 이번 학기 강의가 지난 학기 6학점에서 3학점으로 줄었다는 이야기를 과사무실에 갔다가 조교로부터 전해 들었다. 강사법 유예의 충격과 학과의 내부사정 변화 등으로 어쩌면 담당 과목에 변동이 있겠다는 생각을 안 했던 것은 아니다. 마무리 지어야 할 일들도 많아서 올해까지는 강의 많이 맡지 않아도 되겠다는 생각이 강했지만 그래도 모교에서의 학점 축소는 썩 기분 좋은 일은 아니다. 다음 학기 지역 내 타 대학에서 6학점을 맡았다는 것이 소문이 돌았던 것인지, 아니면 박사논문을 마무리하라는 선생님들의 순수한 배려인지, 그도 아니면 강사법 유예나 학과 전환 등의 다른 구조적 이유 때문인지는 알 수 없다. 그저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겠거니 하는 추측을 할 수밖에 없다. 앞으로 큰 변화가 동반되지 않는 이상 강사들끼리 칼을 빼 들고 싸우게 될 것이고, 인맥이 상대적으로 약한 강사들의 유혈이 낭자한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그래도 모교가 국립인 탓(1시간 8만 원)에 지난 학기 6학점 강의에 4주 192만 원(세전)을 받았다. 다음 학기에도 3학점으로 줄긴 했어도 타 대학에서 6학점을 받은 덕에 9학점으로 지난 학기 수입 비슷하게 그냥저냥 유지할 듯싶다. 물론 한 학기 15주라는 점과 고용보험, 소득세 등을 빼면 6개월 기준으로 110만 원(세후) 조금 넘는 정도밖에 안 되는 박봉이다. 아마 시간강사들이 대부분 비슷비슷할 것이다. 강사료가 1시간에 4만 원 정도 하는 사립대학 3곳 정도를 뛰어 15학점 정도 한다더라도, 160만 원(방학 포함) 정도가 고작일 것이다. 강사들의 수입도 천차만별이지만, 무튼 연구교수나 한국연구재단에서 별도의 지원을 받지 않는 이상 이렇게 저축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수입이 고작일 것이다.



일찍이 국비 조교를 해봐서 강사들의 삶이 어떤지 익히 알고 있었고, 훗날 내가 이런 모습이 되어 있을 것이란 것도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학위취득 이후 시간이 조금 지나면 형편이 조금씩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여전히 있다. 하지만 오늘 같은 날은 무력감을 감출 수 없다. 학위논문을 제출하지 못했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좁을 수밖에 없는 박사과정생의 시간도 아쉽고, 학위논문 이후에는 정말 얼마나 선택의 폭이 넓어질까 하는 의구심도 생긴다. 어느 정도 예측되는 미래를 조금이라도 조정하기 위해서는 순응과 침묵밖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한국사회에서(적어도 학계나 학교에서는) 돌부리처럼 튀어나온 인물이 되어서도 안 되고, 체제에 불응하는 반골이 되어서도 안 된다. 빼어난 실력으로 돌부리처럼 튀어나올 인물도 아니고 체제에 불응하는 반골이 되지도 않았지만, 나는 앞으로 이 불합리함에 되려 돌부리가 되어가고 반골이 되어갈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에 미치자 얕은 한숨이 나왔다.

 


일상적 생활을 하기에도 힘든 이 시기에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20대 후반을 관통하는 시기에 정치사회에 온통 무관심했던 시절이 있었다. 경제적 삶이 피폐했고, 나 자신 하나 돌보기도 힘들었던 때였다. 그때만큼 절박하진 않겠지만, 당시로 돌아가는 듯한 느낌이다. "나는 학생들 밥이나 술을 제대로 사줄 수도 없고, 어떤 부조리함에도 발언을 해서는 안 되는 강사이다." 이제 당분간 이런 주문을 스스로 외우기로 한다. 이제 현실이 그다지 슬프지도 않은 40대가 된 것이 더 억울하다.         

  

2013. 12. 2. 16:28

  올해 2월 3차 북핵실험으로부터 출발한 동북아 지역의 안보불안이 일본의 집단자위권 추진과 동중국해 상 중일 간의 연이은 해상충돌, 그리고 최근 중국의 일방적 방공식별구역(CADIZ) 선포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 여론에 떠밀려 이어도를 포함하는 방공식별구역(KADIZ)의 확대와 TPP 참여 카드 패를 던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략적으로 둘 다 주변 강대국의 반발을 초래한다는 점에 있어 적절한 조치로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이러한 모든 주변 강대국의 조치들이 내부적 결속을 위해 나온 산물임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한편, 올해 5월경 팟캐스트 13회 윤여준 편에 연세대 문정인 교수가 출연해 한국의 생존전략으로 아래의 4가지 방안이 있다고 한 적이 있다.

 

 

1. 균형(balancing) - 미국에 동조하여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와 균형을 가하는 것.

2. 편승(bandwagoning) - 부상하는 중국에 편승, 중국중심의 세계체제 속에서의 이익 도모.

3. 독자생존(standing-alone) - 강대국 세력에 휩쓸리지 않고 말 그대로 독자생존의 길을 추구.

4. 현상유지(satus-quo) - 종전과 마찬가지로 경제적 이익은 중국에서, 안보적 이익은 미국에서 취함.

 

 

  문정인은 당시 이 4가지 생존전략 모두 한계가 있다고 보면서 '유럽식의 동북아 안보 다자협력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에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중국연구자인 서울대 조영남 교수는 2012년 출간한 '용과 춤을 추자: 한국의 눈으로 중국읽기'와 2013년 최근 출간된 '중국의 꿈'의 저서를 통해 '정책 3중주'를 주장하기도 했다. 조영남의 정책 3중주는 한국이 부상하는 중국에 대해 관여(engagement), 위험분산(hedging), 동아시아 다자주의(multilateralism)의 3가지 정책을 동시에 또한 균형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리고 대다수 중국연구자를 비롯한 정책담당자들은 네 번째 전략인 현상유지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주장 역시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먼저 문정인이 말하는 유럽식의 동북아 안보 다자협력체제는 한중일이 중심이 되는 체제인데 일본과 중국이 과연 협력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구심이 남는다. 물론 현실적으로 그렇게만 된다면 1세기 가까이 지속해 온 미국의 동북아지역 개입이 무너뜨리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미국도 이런 방향을 가장 우려한다. 이 안은 중국이 중심이 되지만 동아시아세력에 의한 동아시아 새 판도를 짤 수 있기는 하다.

 

 

  조영남의 생존전략은 이론적으로 나쁘지는 않지만, 정책적 반영에 있어 많은 회의가 드는 방안이다. 아울러 현상유지 방안과 마찬가지로 한국이 회색분자로 오인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개인적으로는 위에서 언급된 '독자생존' 방안에 대한 지지를 표한다. 가장 불투명한 길이긴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핵무기 개발이 없는 독자생존의 추구, 북핵문제를 비롯한 남북관계의 개선, 통일에 대한 방향성 등을 큰 축으로 삼아야 한다. 다른 강대국의 충돌 속에서 어이없는 희생물이 될 바에야 미래를 예측하기 힘들어도 우리의 길을 스스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 가장 후회가 덜 남는 길이 되지 않겠는가.

 

 

  이런 생존전략을 위해 남북관계를 비롯한 앞으로 한국의 생존전략과 관련해 '대토론과 논쟁'을 통한 '담론형성'이 시급하다고 본다. 현재의 '현상유지'전략으로는 이제 오래 버틸 수 없을 것이다. 국가 생존이 달린 문제인만큼 좌우를 포괄하는 전략을 세워야 하는 것은 분명한데 우리가 이런 국제적 문제에 많은 힘을 쏟을 사회적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2013. 10. 22. 14:14

올해 72세의 어머니가 길을 걷다 잎이 빨갛게 물든 이름모를 나무를 보고 "아휴... 예쁘다."라며 연신 감탄사를 날리신다. 그리고 며칠 전에는 조만간 이모들이랑 놀러가는데 입을만한 점퍼가 없다고 툴툴 불평을 늘어놓는다. 이 소리를 듣고 내가 "점퍼 사줄까?"라고 말했다. 이내 어머니 얼굴에 화색이 돈다. 엄마가 엄마가 아니라 한 여자임을 깨닫는 요즘이다. 노총각이 나쁘지 않은 건 이럴 때가 아닌가 싶다.

요즘 읽거나 예정인 책들
예스24 | 애드온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