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604)
우리의 체온과 사색 (61)
성처리가 지은 詩 (23)
일상의 BGM (293)
復旦大學 生活과 工夫 (77)
上海의 外國 人民 이야기 (2)
주소없는 사서함 (0)
Diary (81)
Kommentar (27)
Idea Bank (2)
11년 루구후 독서여행 (8)
09년 전남여행 (3)
Coffee break (27)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관계'에 해당되는 글 3건
2008. 9. 28. 04:3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살면서 많은 인연을 맺어왔고 단절되기도 하였으며 많은 인연들이 잊혀지곤 했다, 한편 그중 적지않은 인연들은 '관계'라는 이름의 한 그루 나무로 무럭무럭 자라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무성해짐은 결코 순조롭지 않았다. 때로는 밑동을 잘라내는 아픔을 견뎌야 하고, 혹독한 추위도 견뎌내면서 간혹 나타나는 미세한 훈풍에 우리는 관계의 지속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지, 그리고 인연이란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입에 침이 마르도록 예찬하고는 한다.

때로는 인연이라고 지칭하기도 어려울만큼의 스침이 있다. 그러나 그 스침이 반복되는 순간을 역시 인연이라 한다면 어제 우연히 다시 만난 꼬마아가씨도 이러한 범주에 넣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인연이라 주관적으로 명명할 수 있는 순간이 와도 우리가 그것을 오롯이 대할 수 없는 까닭은 언제나 '상처'라는 방해물 때문은 아닐까. 상처란 것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던 우리의 유년시절로 돌아간다면 답은 너무도 쉽게 나온다.

가끔 나 자신은 얼마나 상처받고 싶어하지 않는가에 대한 자문을 해본다. 통상적이라 한다면 '인연'을 되도록이면 만들지 않는 것에서 자기보호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나의 경우 약간 독특한 것이 사소하고 가벼운 인연의 끈에서부터 놓고 싶어하지 않으려 하는 속성이 있다. 이 속성을 어떻게 정의내려야 할 지는 다소 난감하다. 그렇지만 역시 근원적으로는 상처받지 않기 위함임은 틀림없는 듯 싶다. 다시 돌이켜 생각해 본다. 사소함을 소중히 여기는 나의 모습이 어쩌면 상처받은 누군가에게 그 상처를 더 후벼파는 일련의 행위가 될 지도 모른다고. 그렇다면 '상처는 공유할 수 없다.'라는 나의 평소 지론과도 상반되는 결론이 나온다.

내 감정이 소중하다는 이유만으로 타인의 상처를 잘 볼 수 있는 상황에서도 침묵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인연과 관계란 것에 대한 모독이나 다를 바 없다. 나는 이것을 '인연과 관계의 모독죄'라고 부르고 싶다. 또 다시 반추해보면 나의 이런 면은 애정이라는 명목으로 누군가와 나 자신이라는 양자 모두를 참으로 용이하게도 범해온 사실도 깨닫게 된다.

당분간 인연과 관계라는 단어를 스스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접근금지'에 처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을까 싶다. 따라서 피고 'zzacnoon'은  상기 입증에 따라 '인연,관계 모독죄'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바, 용어 접근금지 2,400시간에 처한다.        


※ 재범의 소지가 매우 우려되는 바, 추후 더욱 중벌에 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2008. 8. 25. 05:3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언제부터였을까. 나는 떠나가는 관계에 대한 공포때문이었는지 새롭게 맺게 되는 옅은 관계에 대해서도 하릴없는 집착을 보이기 시작했다. 가만 생각해보면 이는 두 가지 측면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듯 싶다. 하나는 새로운 관계에 산뜻한 칠을 하고 윤기를 더해 유지,발전하고 싶어하는 이 세상 누구나 갖는 희망의 측면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나를 사랑하게 되면서 그 관계의 대상과 진정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욕심에서 비롯되었다.


그래서 나에게 긍정적으로 다가왔던 사람이 떠나가는 그 순간을 몹시 견디기 힘들어하는 것은 두 말할 나위가 없는 것이 되었고 또한 새로운 관계가 채 무르익기도 전에 관계의 줄이 허무하게 끊어지는 것은 더이상 두고보지 않는 삶의 양상을 띠기 시작했다.


내가 상처받기 싫어하는 것은 어디까지인지. 그리고 내가 아직 이해하지 못한, 아니 외우지 못한 낯익지 않은 상대를 배려하는 것은 어느 정도의 힘으로 미세하게 임계점을 조절해야 하는 것인지 난 여전히 모르겠다. 우리가 관계의 근육을 키워나가기 위해서는 우리의 앞길에 불쑥 튀어나오는 작은 오해의 송곳들을 요리조리 지혜롭게 피해 공을 피해 나가야 한다는 것은 지극히 상식적인 것이다. 그러나 이는 혼자 힘으로 아무리 애를 써도 할 수가 없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영원히 평행선을 달린다.'란 말을 종종 언급하는데 이는 그것이 사랑 혹은 따뜻한 우정의 종착점에 안착하기 위한 삶속에서의 치열한 투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영원히 평행선을 달리는 것이 인간들일 수 밖에 없는 까닭에 우리의 생에서는 '사랑'과 '우정'이라 불리워지는 것들이 비로소 아름답게 느껴지고 투명하게 반짝이는 것이다.


우리는 대부분 삶을 살면서 누구나 평행선을 한 번쯤 달려본 경험이 있다. 그렇기에 이 평행선을 달린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체험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그 평행선을 다시는 대면하지 않으려 편히 안착할 수 있는 지점을 모색하고는 한다. 그러나 이것은 보이지 않는 타인의 일방적 희생을 요구하기 마련이다. 역으로는 희생도 하지 않으면서 출발점에도 서 있지 않은 상대로 하여금 같이 달리자고 하는 것 역시 매우 무리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공정한 판단과 결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두 사람이 모두 같은 곳에서 출발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 누구에게도 상처는 공유될 수 없는 것이기에 공유하자고 얘기하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그렇다고 우리의 관계가 평행선을 달리기 위한 여건과 환경이 저절로 주어지는 것도 아님을 분명히 해두고 싶다. 그 끝없는 평행선 속에서도 부단한 수신호를 주고 받아야 충돌하지 않고 교차할 수 있는 법인데 하물며 출발하기도 전에 그 머나먼 여정을 위한 준비가 소홀해서야 되겠는가. '너'는 '나'를 '나'는 '너'를 손질하고 닦는 작업이 충실해야 우리는 그제서야 가장 기본적인 관계의 출발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뒤에는 전후좌우 모두 살펴가며 가속을 하면서 평행선을 달려 나가야 한다. 전후좌우는 '나'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다. 평행선을 같이 달리고 있는 상대도 출발하기 전과 마찬가지로 맞대야 한다. 나보다 속도가 느린가 너보다 내가 속도가 빠른 것인가란 것도 점검해야 한다.


출발하기 전후 모두 우리는 평행선을 다시금 달릴 수 밖에 없음도 깊이 인식해야 한다. 평행선을 달리지도 않고 '사랑' 혹은 '우정'이 싹트는 것은 애당초 글른 일이 아닐 수 없다.


허나 나는 지금 평행선을 달리지 않고 있으면서 거짓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다만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달리지 않는 평행선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평행선 열차는 지금부터라도 관계를 싣고 다시 힘찬 기관소리를 뿜어야 한다.

.'죄스럽다. 내가 함께 달리지 않는 '너'와 '너희'에게... 진심으로..

2008. 7. 15. 20:31

우중충한 날씨에 비생산적인 장시간 회의까지 겹친 날이라 그런지 컨디션이 좋지 않다.

대부분의 회사원들이 그렇겠지만 사무실에서는 보통 슬러퍼를 신게 된다.

일을 하다보면 화장실 혹은 5, 7, 9층을 왕복할 일이 생기는데

오늘 유난히 슬리퍼에서 '딸그닥' 소리가 나길래 봤더니

밑창이 너덜너덜해져 더 이상 신을만큼 없게 되었다.

 

 

 

이미 몇 일전부터 그렇게 나간 것 같은데 눈치도 없는 놈은

그것도 모르고 있었던게다.

비록 1년 전쯤 사무실 앞 피맛골 생선구이 골목 앞에서

5,000원 주고 저렴하게 구입한 것이라도

너덜거리는 슬리퍼를 보니 뜬금없게 '불쌍한 놈'이란 혼잣말이 절로 나왔다.

 

 

 

급한 마음에 스테이플로 찍어봤지만 소용이 없었다.

내일이라도 당장 사야겠지만 '슬리퍼'를 쉽게 버릴 자신이 생기지 않았다.

 

 

 

무엇때문이었을까?

폐기처분되어 버린 사물에 대한 연민이었을까?

아니면 그래도 상시 내 곁에 있던 사물에 대한 섭섭함일까?






우리는 살다보면 우리와 대화가 통하지 않는 '사물', '동물', '식물' 등등의 것에

무한한 애정을 쏟아붓게 되는 순간이 있다.

아마도 말이 통하지 않는 상대로 일방적 행위가 가능하기 때문이리라.

대상의 의견을 들을 필요도 없이 내 멋대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구조가

우리를 그리도 관대한 사람으로 변하게 하는 듯 하다.

 

 

 

그러나 사람과 사람사이의 관계는 늘 그렇지 못하다.

흔히 '관계'가 깨졌을 때 내 탓보다는 상대방의 탓을 하기 일쑤이고

'통'하지 않음은 어쩔 수 없는 한계라 치부해 버리곤 한다.

요컨대 인간관계에서 내 '탓'이 아닌 경우가 즐비한 것이다.

 

 

 

가령 귀여운 강아지처럼 '멍멍' 짖으며 쳐다 보기만 하는 '사람(?)'이 있다면

오늘 내가 슬리퍼를 대했던 마음과 같은 마음이 들지도 모르겠다.

 

 

 

한편 우리는 끊임없이 실망하고 절망하면서도

결국 다시 '사람'으로 치료받으려 하는 연유는

그저 '나눌' 사람이 필요해서일까?

 

 

 

우리는 일상 속에서 '나누는 것'과 '사랑'을 얼마나 생산적으로 구분하고 있을까?

'나누는 것'과 '사랑'은 분명 다른 경지의 것이다.

'나누는 것'은 곧잘

내가 갖고자 하는 부분을 상대에게서 취하게 됨으로 일방적으로 종결되는데 비해

'사랑'은 그런 경지를 일찌감치 뛰어넘는 것이리라.

그래서 사랑을 끊임없이 갈구하게 되지만

결국 대부분의 '사랑'이라 일컬어지는 것들은 '나누는 것'에 그칠 뿐이다.

 

 

 

이런 측면에서 나눈다는 것은 무척이나 이기적이고 타산적인 행위인 셈이다.

늘 자신만이 상처받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인간임을 상정할 때

이러한 행위는 일상 속에서 너무나 쉽게 용인되고 묵인되어 버린다.

 

 

 

그러나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만(?) 있다.

'사랑'이란 감정의 생성과 교류는

부단한 이해와 양보의 과정임을...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상대방에 대한 '입장의 동일함'이란 것을...

 






머리 좋은 사람은 가슴 좋은 사람만 못하고

가슴 좋은 사람은 손 좋은 사람보다 못하고

손 좋은 사람은 발 좋은 사람보다 못하다.

관찰보다는 애정이, 애정보다는 실천적 연대가

실천적 연대보다는 입장의 동일함이 더욱 중요하다.

입장의 동일함! 그것은 관계의 최고 형태이다.

 

- 신영복 선생의 '관계의 최고형태' 中에서 -

prev"" #1 next
요즘 읽거나 예정인 책들
예스24 | 애드온2